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바지런한 냥이

바리데기 설화.. 본문

생활정보

바리데기 설화..

꿈꾸냥 2025. 4. 28. 21:29
반응형

얼마 전 부산 송도 방향으로 드라이브를 갔다가 도로에 걸어진 현수막을 보고 알게 된 내용입니다.

바리데기 공주라는 말은 들었지만, 쓰으윽 스치고 지나가는 현수막에 궁금증을 더하게 됩니다.

부산에서 하는 행사이긴 하지만, 바리데기 설화 자체에 대해 알아봅니다.

먼저 부산 바리데기 공연(연극) 일정부터 확인 해봅니다.

※ 부산시립예술단 연합공연 《바리데기》

  • 공연일정: 2025년 5월 22일(목)~24일(토)
    • 5월 22일(목) 19:30
    • 5월 23일(금) 14:00 (*예술교육공연)
    • 5월 23일(금) 19:30
    • 5월 24일(토) 15:00
  • 장소: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 입장료: 예매-부산문화회관 공식 홈페이지 부산 문화회관 
    • R석: 30,000원
    • S석: 20,000원
    • A석: 10,000원
  • 관람연령: 만 5세 이상

♣ 현대적 창작이나 문학적 재해석 없이, 전통적 설화와 무속 신앙의 틀 안에서 정리 즉,

바리데기 설화의 전통적 의미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바리데기 설화 정리 (전통적/고전적 관점)

1. 기본 개요

바리데기는 한국 고대 설화와 무속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 이름은 '버린 아기'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왕과 왕비가 일곱 번째로 태어난 딸을 버리고, 그 딸이 자라나 부모를 구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2. 주요 줄거리

  • 옛날 한 나라의 왕과 왕비는 아들을 원했으나 일곱 번째도 딸이 태어나자 실망하여 아기를 버린다.
  • 바리데기는 남의 손에 자라면서도 성실하고 강인하게 성장한다.
  • 시간이 흘러, 왕과 왕비는 중병에 걸리는데, 저승 세계(혹은 삼천 세계)에서만 얻을 수 있는 약이 필요하다는 신탁을 받는다.
  • 버림받았던 바리데기는 부모를 위해 생명의 약수를 구하기 위해 먼 길을 떠난다.
  • 바리데기는 저승 세계의 여러 시련을 이겨내고 약을 얻어 부모에게 돌아간다.
  • 바리데기는 부모를 살린 뒤, 저승 세계를 다스리는 신적인 존재가 된다.

3. 바리데기의 상징적 의미

  • 효(孝):
    버림받았음에도 부모를 구하는 바리데기는 전통적 효의 이상을 대표한다.
  • 고난과 인내:
    저승 세계를 지나며 겪는 여러 고난은 인간 존재의 시련을 상징하며, 이를 인내로 극복하는 모습은 전통적 미덕으로 여겨진다.
  • 죽음과 삶의 경계:
    바리데기가 저승과 이승을 오가는 과정은 생사의 경계를 넘어서는 신성한 임무를 의미한다.
  • 저승 인도 신(사자):
    부모를 살린 뒤 바리데기는 인간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존재가 되며, 이는 한국 무속에서 중요한 신적 역할을 차지한다.

4. 무속 신화에서의 바리데기

  • 굿(巫俗儀式):
    • 오구굿: 죽은 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무사히 보내기 위한 의식에서 바리데기가 주요 역할을 한다.
    • 진오귀굿: 고인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식에서도 바리데기는 중요한 신적 존재로 소환된다.
  • 무당의 신화:
    무당은 바리데기의 정신을 계승하는 존재로 간주되기도 한다. 특히 여성 무당은 바리데기의 여정과 닮아 있는 신화를 지닌다.

5. 지역과 버전

  • 지역에 따라 바리데기 설화의 세부 내용은 약간씩 다르다.
    예를 들어 일부 지역에서는 바리데기가 "삼천리 저승"을 넘는다고 표현하고, 어떤 곳에서는 "삼천 궁전"이라 부른다.
  • 그러나 공통적으로 '버림받은 아이'가 '부모를 살리고 신이 된다'는 핵심 구조는 유지된다.

※ 정리

바리데기

  • 부모에게 버림받은 아이가 끝내 부모를 구하며,
  • 험난한 고난을 이겨내고
  • 죽음과 삶을 이어주는 신적 존재로 거듭나는
    한국 고대 설화의 대표적 인물이다.

이 설화는 효, 고난 극복, 죽음에 대한 인식, 무속 신앙 등 한국 전통 사회의 핵심 가치를 담고 있다.

 

바리데기 설화의 전통적 의미 중심으로 정리를 한 글을 보면서 

--- 요즘세대들은 어떻게 재해석을 하고 있을지 궁금해지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