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핫팩 #핫팩분리수거 #핫팩원리 #핫팩폐기 #핫팩종류
- #식도염 #식도염예방 #식도염종류 #식도염주요증상 #식도염주요원인
- #과일 #석가 #석가키우기 #아테모야
- #일년세금정리 #일년을 계획한다 #세금
- #로밍 #해외로밍
- 새똥 #차량의더러움 #새똥의산성 #차의도장을갉아먹는새똥
- #제주 #담장 #돌담 #현무암 #돌모양존중
- #취업 #고용 #실업급여 #기초생활보장 #구직 #직업훈련
- 티스토리챌린지
- #옥돔 #제주산옥돔 #옥돔구별방법 #제주산옥돔의특징 #반건조옥돔 #
- 오블완
- #석양 #노을 #석양과노을의구분 #태양의변화 #하늘색변화
- #독감 #바이러스 #인풀루엔자 #
- #애완동물사망절차 #
- #보조배터리 #휴대용 충전기 #항공기반입 #배터리내장형캐리어 #
- #귀여움 #스키마 #보호본능
- #초상권 #애완동물 #사진영상 #디지털시대
- #커스텀
- #그림전 #미술전 #전시회 #부산광안리 #포디움 #독일현대미술
- #하머정 #하마비 #화지산 #역사적흔적
- #손목골절 #골절 #골절후유증 #골절재활
- #맥주효모 #맥주효모의효능 #
- #새뱃돈 #신권 #새뱃돈의미 #새뱃돈유래
- #새일센터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회관 #여성문화회관
- #리뉴어스 #친환경 #폐기물자원 #환경개선
- #드론 #드론쇼 #광안리드론쇼 #광안리해변
- #하늘레기 하늘타리 #덩쿨 #넝쿨
- #드론 #드론쇼 #광ㅇ리
- #겨울김치 #동치미 #
- #보스킹 #거리예술 #버스킹종류 #버스킹역사 #버스킹어원
- Today
- Total
바지런한 냥이
동치미 김치 본문
늦은 겨울밤이 되면 한 번씩 생각 나는 동치미 국수입니다.^^
국수는 별로 좋아하진 않지만, 시원하게 살얼음 동동 떠있는 동치미 국물은 얼음으로 만들어진 아이스크림보단
뒤끝이 깔끔해서 좋아한답니다.ㅎㅎ
특히 눈이 내리는 늦은 밤이면 더욱 생각이 나는 살얼음 동치미국물은 따뜻한 군고구마와도 찰떡 짝꿍...ㅋ
그런 동치미에 대해 알아봅니다.^^
※ 동치미의 역사
동치미는 한국의 전통 발효 음식 중 하나로, 맑은 국물과 시원한 맛이 특징인 김치입니다. 고춧가루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무를 주재료로 하여 소금물에 절여 숙성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특히 겨울철에 많이 담가 먹었으며, 국물까지 함께 마실 수 있어 개운한 풍미를 자랑합니다.
1. 동치미라는 이름의 유래
‘동치미(冬沈漬)’라는 단어는 ‘겨울(冬, 동)’과 ‘담가서 절인다(沈漬, 침지)’는 의미를 결합한 말입니다. 즉, 무를 겨울 동안 소금물에 담가 발효시켜 먹는다는 뜻에서 비롯되었습니다.
2. 고려 시대의 동치미
동치미가 처음 등장한 시기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고려 시대의 문헌에도 초창기 형태의 물김치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에는 고춧가루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맑은 국물을 기본으로 하는 김치 형태가 흔했습니다.
3. 조선 시대 문헌 속 동치미
조선 후기 문헌인 *「규합총서」*와 *「동국세시기」*에는 동치미와 관련된 기록이 등장합니다. 이 문헌들에서는 동치미가 겨울철 저장 음식으로 활용되었으며, 상류층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담가 먹었던 것으로 나타납니다. 국물이 시원하고 개운하여 기름진 음식과 함께 먹기 좋았으며, 특히 겨울철 별미로 여겨졌습니다.
4. 현대의 동치미
오늘날 동치미는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도록 변화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는 김장철인 늦가을과 초겨울에 담가 겨울 내내 숙성하여 먹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현대에는 냉면 육수나 국수와 함께 곁들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발효 과정에서 나오는 유산균 덕분에 소화에도 도움이 되는 건강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동치미의 특징과 의미
- 맑고 시원한 국물로, 국물까지 함께 즐기는 발효 김치이다.
- 고춧가루 없이 담백한 맛을 내며, 깔끔한 풍미가 특징이다.
- 겨울철 저장 음식으로 만들어졌으며, 김치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 기름진 음식과 잘 어울리며, 소화에 도움이 되는 음식으로 사랑받고 있다.
동치미는 단순한 반찬을 넘어 한국 전통 음식의 다양성과 발효 문화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김치 중 하나입니다.
※ 동치미 김치란?
동치미는 무를 주재료로 하여 맑은 국물과 함께 숙성시키는 김치의 한 종류입니다. 고춧가루가 거의 들어가지 않아 깔끔하고 시원한 맛이 특징이며, 특히 겨울철에 담가 숙성하면 더욱 깊은 감칠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국물까지 함께 즐길 수 있어 입맛을 돋우는 음식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 동치미 김치 만드는 법
* 필요한 재료
- 무 (중간 크기) 3~4개
- 굵은소금 3큰술
- 설탕 1큰술
- 쪽파 한 줌
- 청양고추 3~4개
- 홍고추 2개
- 배 반 개 (선택 사항)
- 마늘 5~6쪽
- 생강 1톨 (얇게 썰기)
* 국물 재료
- 물 10컵
- 굵은소금 2큰술
- 설탕 1큰술
- 밥 2큰술 (또는 찹쌀풀)
※ 만드는 과정
- 무 손질 및 절이기
- 무를 깨끗이 씻고 껍질째 사용하거나 살짝 벗긴 후, 통으로 또는 큼직하게 잘라준다.
- 굵은소금을 골고루 뿌려 2~3시간 정도 절인 후, 흐르는 물에 씻어 물기를 제거한다.
- 국물 준비하기
- 물에 소금과 설탕을 넣고 잘 녹인다.
- 밥 또는 찹쌀풀을 넣으면 감칠맛이 더해진다.
- 김치통에 담기
- 절인 무를 통에 차곡차곡 담고, 쪽파, 고추, 마늘, 생강, 배를 함께 넣는다.
- 국물 붓고 숙성하기
- 준비한 국물을 김치통에 붓고, 실온에서 2~3일 숙성시킨다.
- 국물이 살짝 새콤해지면 냉장고에 보관하여 천천히 익혀 먹는다.
※ 맛있게 즐기는 방법
- 1~2주 정도 숙성 후 시원한 국물과 함께 먹으면 깔끔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동치미 국물은 국수나 냉면 육수로 활용하면 깊은 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 김치가 숙성될수록 깊은 감칠맛이 살아나 요리에 활용하기 좋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팩의 원리와 처리방법 (36) | 2025.02.04 |
---|---|
버스킹 (32) | 2025.02.03 |
베이비 스키마(Baby Schema, Kindchenschema)란? (14) | 2025.02.01 |
리뉴어스와 환경 (21) | 2025.01.31 |
신라이프치히 화파(New Leipzig School) (27)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