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바지런한 냥이

보조 배터리(휴대용 충전기)에 관련된 항공사의 대응 본문

생활정보

보조 배터리(휴대용 충전기)에 관련된 항공사의 대응

꿈꾸냥 2025. 2. 7. 21:02
반응형

얼마 전 수화물의 보조 배터리(휴대용 충전기)로 인한 사고가 있었죠. 간혹? 자주? 비행기를 이용하고 있기에 꼭 들고 다니는 보조 배터리(휴대용 충전기)에대해 항공사마다 그 대응책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를 확인해봅니다.

가까운 시일에 다시 비행기를 타야 하는데, 공항 소지품  x-레이확인 대 앞에서 된다 안되다 하다 빼껴버릴 수도 있기에

.... 초창기엔 안된다 그럼 울며 겨자 먹는 식으로 다 버렸는지 어쨌는지 포기하고 탑승한 적도 있었던 기억이 있네요.ㅋ

그래서인지 사소 한 것까지 확인하게 됩니다. ㅎㅎ 

내 껀 내가 사수한다....!!!라는 심정으로~

 

※ 항공기 보조 배터리 반입 가이드

항공 여행 시 보조 배터리(휴대용 충전기)의 반입은 국제 규정과 각 항공사의 방침에 따라 제한됩니다. 리튬 배터리는 폭발 및 화재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기내 반입만 허용되며, 용량에 따라 제한이 존재합니다.

아래에서 보조 배터리 반입 규정을  정리해 봅니다.

1. 보조 배터리 반입 기본 규칙

기내 반입 가능 / 위탁 수하물 불가
배터리 용량(Wh)에 따라 반입 가능 여부 결정
단락 방지 조치 필수 (절연 포장, 보호 케이스 사용)
스마트 캐리어(배터리 내장형 캐리어)는 분리 가능 여부에 따라 반입 가능

* 왜 위탁 수하물에 넣을 수 없을까?
위탁 수하물로 부치는 경우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모든 보조 배터리는 기내 반입 필수입니다.

2. 보조 배터리 용량 제한 (Wh 기준 적용)

보조 배터리는 Wh(와트시) 기준으로 반입 가능 여부가 결정됩니다.

배터리 용량 (Wh) 기내 반입위탁 수하물개수 제한항공사 승인 필요 여부

100Wh 이하 ✅ 가능 ❌ 불가 제한 없음 ❌ 불필요
100~160Wh ✅ 가능 ❌ 불가 최대 2개 ✅ 필요
160Wh 초과 ❌ 불가 ❌ 불가 - -

* Wh(와트시) 계산법

Wh = (mAh ÷ 1000) × V(전압)
예) 20,000mAh × 3.7V ÷ 1000 = 74Wh → 기내 반입 가능

* 참고:

  • 일반적인 스마트폰 보조 배터리는 100Wh 이하로 대부분 문제없이 기내 반입이 가능합니다.
  • 전문가용 카메라, 드론, 노트북 배터리는 100Wh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 100Wh 초과 배터리는 항공사 승인이 필요하며 최대 2개까지 반입 가능합니다.

3. 안전한 보관 및 포장 방법

*보조 배터리는 단락(쇼트) 및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반드시 안전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 배터리 단자 보호 조치 필수

  • 금속에 닿아 합선되지 않도록 절연 테이프 부착 또는 보호 케이스 사용
  • 원래 포장 상태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안전

- 손상된 배터리는 반입 금지

  • 배터리가 부풀어 있거나, 깨졌거나, 물에 젖었을 경우 반입 불가

- 기내에서 사용 가능 여부

  • 대부분의 항공사는 기내에서 보조 배터리를 사용한 충전을 허용하지만, 일부 항공사는 제한할 수 있음
  • 기내에서 사용할 경우 승무원의 지시에 따라야 함

4. 스마트 캐리어(배터리 내장형 캐리어) 반입 규정

* 일부 여행용 캐리어(스마트 러기지)에는 보조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항공사 정책상 배터리를 분리할 수 없는 캐리어는 반입 및 위탁 모두 불가합니다.

배터리 분리 가능 → 기내 반입 가능 (100Wh 기준 적용)
배터리 분리 불가능 → 반입 및 위탁 모두 불가

* 스마트 캐리어를 사용할 경우

  • 기내 반입 시 배터리가 100Wh 이하인지 확인
  • 위탁 수하물로 부칠 경우 배터리를 반드시 분리하여 기내로 반입

5. 주요 항공사별 보조 배터리 반입 정책

각 항공사의 정책은 기본적으로 국제 규정을 따르지만,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출발 전에 해당 항공사의 최신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항공사 100Wh 이하 100~160 Wh160 Wh 초과추가 제한 사항

대한항공 (Korean Air) ✅ 가능 ✅ 최대 2개 ❌ 불가 단락 방지 필수
아시아나항공 (Asiana Airlines) ✅ 가능 ✅ 최대 2개 ❌ 불가 개별 포장 필수
제주항공 (Jeju Air) ✅ 가능 ✅ 최대 2개 ❌ 불가 최대 20,000mAh 권장
진에어 (Jin Air) ✅ 가능 ✅ 최대 2개 ❌ 불가 기내 사용 가능하나 승무원 지시 따름
아메리칸 항공 (American Airlines) ✅ 가능 ✅ 최대 2개 ❌ 불가 개별 포장 필수
에미레이트 항공 (Emirates) ✅ 가능 ✅ 최대 2개 ❌ 불가 일부 공항에서 제한 가능
루프트한자 (Lufthansa) ✅ 가능 ✅ 최대 2개 ❌ 불가 스마트 캐리어 배터리는 제거해야 함

 

* 주의사항

  • 위 내용은 일반적인 기준이며, 항공사마다 세부 규정이 다를 수 있음
  • 특히 100Wh를 초과하는 배터리는 사전 항공사 승인 필수
  • 최신 규정은 각 항공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필요

6. 보조 배터리 반입 시 체크리스트

🔲 배터리 용량 확인 (100Wh 이하인지, 100~160Wh는 2개 이하인지 확인)
🔲 배터리 포장 상태 점검 (단락 방지, 개별 포장, 절연 테이프 부착 여부 확인)
🔲 스마트 캐리어 사용 여부 확인 (배터리 분리 가능 여부 체크)
🔲 탑승할 항공사의 최신 규정 확인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 문의)
🔲 기내에서 사용 가능 여부 확인 (승무원 지시 준수)

※ 결론: 항공기 보조 배터리 반입 요약

  • 100Wh 이하: 제한 없이 기내 반입 가능
  • 100~160Wh: 최대 2개, 항공사 승인 필요
  • 160Wh 초과: 반입 및 위탁 불가
  • 위탁 수하물(수하물 칸)에는 보조 배터리 절대 금지
  • 배터리는 반드시 개별 포장 및 단락 방지 조치 필요
  • 배터리 분리 불가능한 스마트 캐리어 사용 금지

* 출발 전 탑승할 항공사의 최신 규정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반응형